분류 전체보기
-
11일차 - Memory Management(2)CS지식/운영체제 2021. 5. 7. 23:31
오늘은 저번 시간에 이어 메모리 관리에 대한 공부를 했다. 메모리 관리를 위한 기법들을 배우고 저번 시간에 배우지 못한 부분인 multi paging과 segmentation에 대해 배웠다. 1. Two-level Page Table 앞 시간에 Paging 기법에 대해서 배웠다. 프로세스를 동일한 크기인 page로 나누어 필요한 부분만 메모리에 올려 사용하는 기법이다. 그러면 two-level page table은 무엇이고 왜 나온 것일까? two-level page table은 말 그대로 page table을 2개 사용하여 paging기법을 구현한 것이다. 기존 paging기법은 하나의 page table을 사용하여 논리적 주소를 물리적 주소로 변환하여 메모리에 접근하는 방식인데 2개의 page tab..
-
10일차 - 관계 데이터 연산CS지식/데이터베이스 2021. 5. 6. 23:17
지금까지 데이터베이스 모델링과 이상현상을 없애기 위한 정규화에 대해 배웠다. 오늘은 릴레이션끼리 연산을 하거나 하나의 릴레이션에 연산을 하여 원하는 릴레이션을 얻는 관계 데이터 연산에 대해 배웠다. 1. 관계 데이터 연산이란 관계 데이터 연산은 원하는 데이터를 얻기 위해 릴레이션에 필요한 처리 요구를 수행하는 것으로 관계 대수와 관계 해석이 존재한다. 관계 대수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데이터의 처리과정을 순서대로 기술한 것이고 관계 해석은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처리를 원하는 데이터가 무엇인지만 기술한 것이다. 정의를 보았을 때는 무엇을 의미하는지 감이 안 올 것이다. 지금부터 관계 대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2. 관계 대수 언어 관계 대수는 위에서 정의한대로 결과를 얻기 위해 릴레이션의 처리과..
-
7일차 - HTTP 인증CS지식/네트워크 2021. 5. 6. 00:57
오늘은 HTTP가 제공하는 표준적인 인증 방법과 SSL 클라이언트 인증, 폼 베이스 인증에 대해 배웠다. 어제 배운 것에서 알 수 있듯이 HTTP는 통신 상대를 확인하지 않기에 약점이 존재한다고 하여 인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어제는 SSL을 통해서 인증을 구현한다고 하여 HTTP 자체에 인증 방법이 없는 줄 알았는데 오늘 배우면서 제대로 알게 되었다. 1. 인증이란 우리는 누군가와 얘기를 할 때에 서로 알고 있거나 모른다면 통성명을 하여 누군지 알고 시작한다. 하지만 컴퓨터는 클라이언트가 누구인지, 서버가 누구인지 알 수가 없다. 그래서 인터넷을 통한 통신에서는 상대방인지 누구인지 알 수 있도록 정보가 필요하고 정보를 통해 확인된 실체가 정말 맞는지에 대한 확신이 필요하다. HTTP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
아직은 부족한 것일까..기타/프로젝트 2021. 5. 5. 16:22
오늘 포스팅은 프로젝트 진행상황을 알려주고 다음 계획을 알려주고자 한다. 먼저, 계산화면을 구현하기 위해 생각해봤는데 메뉴에 따른 가격정보는 어떻게 어디서 가져와야하는지에 대한 해답을 풀지 못했다. 사실 어떻게 구현해야할지 그림은 그렸지만 코드로 짜기 벅찼다. 첫 번째 생각은 DB에 정보를 저장해서 필요한 값들을 불러오면 될 것같지만 나에게는 아직 어렵다. 두 번째 생각은 현재는 frame을 여러 개 잡아서 설계해서 frame 1의 정보를 frame 2로 넘기는 방법을 못 찾았다. 그래서 frame은 하나로 두고 panel을 여러 개 생성하여 바꾸면 어떨까 생각했지만 마음처러 쉽지는 않았다. 그래서 포기를 하는 것인가? 그거는 아니다. 나는 생활코딩 강의를 듣고 java를 어느정도 알았다고 생각했지만 그..
-
10일차 - Memory Management(1)CS지식/운영체제 2021. 5. 4. 23:42
오늘부터는 메모리를 어떻게 관리하는지에 대해 배웠다. 지난 시간동안 프로세스들이 CPU를 얻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들을 배웠는데 오늘은 프로세스가 실행되고 물리적인 메모리에 올라가면서 발생하는 일들 중 일부분을 배울 수 있었다. 1. memory management의 기본 우선 메모리 관리를 배우기 전에 메모리에 대해 잠깐 언급하자면 메모리는 주소를 통해 접근하는 매체이다. 여기서 주소는 logical address와 physical address로 나뉜다. 1) logical address logical address는 가상주소(virtual address)와 같은 말로 프로세스마다 독립적으로 가지는 주소 공간이다. 각 프로세스마다 주소할당은 0번부터 시작한다. 2) physical address ph..
-
9일차 - 정규형과 정규화 예제CS지식/데이터베이스 2021. 5. 3. 23:00
오늘은 정규형에 대해 배우고 저번 시간에 배운 정규화를 직접 예제를 통해 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정규형에서는 3정규형까지만 배워서 BCNF형, 제 4형, 5형에 대해 따로 알아봐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1. 정규화란 (복습) 정규화는 함수 종속성을 이용해 릴레이션을 연관성 있는 속성들로만 구성되도록 분해해서 이상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바람직한 릴레이션으로 만들어 가는 과정이다. 여기서 릴레이션을 분해할 때 무손실 분해되어야 한다. 무손실 분해가 의미하는 것은 릴레이션이 의미적으로 동등한 릴레이션들로 분해되어야하고 분해로 인한 정보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아야한다는 것이다. 또한, 분해된 릴레이션들을 자연 조인하면 분해 전의 릴레이션으로 복원 가능해야한다. 2. 정규형(NF, Noraml Form) 오늘 배운..
-
6일차 - 웹을 안전하게 지켜주는 HTTPSCS지식/네트워크 2021. 5. 2. 23:10
오늘은 HTTP의 안전을 지켜주는 HTTPS에 대해서 배웠다. 평소에 주소를 보면 http인 경우도 있고 https인 경우도 있었는데 이것들이 무슨 차이가 있는지는 잘 몰랐다. 오늘 https를 배움으로써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었다. 1. HTTP의 약점 지금까지 HTTP의 동작원리와 기능에 대해 배웠다.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에 통신을 할 수 있게 해주는 HTTP의 단점이자 약점은 무엇이 있을까? 1) 암호화 하지 않은 통신이기 때문에 다른 사람(통신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이 볼 수 있다. 암호화되어 있지않은 통신에 약점이 존재하는 이유는 TCP/IP 구조의 통신 내용은 전부 통신 경로 도중에 엿볼 수 있기 때문이다. 통신 경로 상에 있는 네트워크 기기나 케이블, 컴퓨터 등은 모두 자신이 소유하고 있지 않..
-
9일차 - Deadlock(교착상태)CS지식/운영체제 2021. 5. 1. 23:08
오늘은 Deadlock에 대해 배웠다. 프로세스 동기화를 배우면서 deadlock상황에 대해 간단히 언급이 되었는데 오늘은 더 저세하고 처리방법에 대해 알 수 있었다. 1. Deadlock이란 deadlock은 일련의 프로세스들이 서로가 가진 자원을 기다리며 block된 상태를 말한다. 즉,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원들은 내어놓지 않고 다른 프로세스가 가지고 있는 자원을 요청하는 상태여서 진행이 되지 않는 상태이다. 여기서 말하는 자원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I/O device, CPU cycle, memory space, semaphore 등을 뜻한다. deadlock 상태인 예를 들어 얘기해보자. 시스템에 2개의 tape drive A, B가 존재하고 프로세스1은 A를 가지고 있..